소스 코드 파일은여기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AcornPublishing/mastering-spring5-2e
스프링은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가장 핵심적인 기술 중 하나다. 이 책에서는 스프링의 개념과 스프링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인 스프링 프레임워크, 스프링 부트를 살펴보고, 마이크로서비스, 리액티브, 코틀린까지 다룬다. 또한 스프링과 통합되는 다른 기술들과 여러 가지 응용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도 다루고 있다. 대중적이고 기본적인 소스코드로 쉽게 따라 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해 이해를 돕는다.
■ AOP, 트랜잭션 관리, 작업 스케줄링 및 스크립팅과 같은 스프링 프레임워크 5.1 기능 탐색
■ 스프링 및 스프링 부트로 REST API 및 마이크로서비스 구축
■ 스프링 시큐리티를 사용해 안전한 REST API 개발
■ 최초의 풀스택 리액트 애플리케이션 구축
■ 스프링 및 스프링 부트로 효율적인 단위 테스트 작성
■ 스프링 부트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모니터링을 위한 고급 기능 이해
■ 스프링 클라우드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에 배포 및 관리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기본 지식이 있는 숙련된 자바 개발자를 대상으로 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스프링 부트, 스프링 클라우드, 스프링 데이터, 스프링 리액티브, 스프링 시큐리티, 스프링 테스트와 같은 다양한 스프링 프로젝트를 자세히 설명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훌륭한 REST API, 마이크로서비스, 풀스택 애플리케이션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단위 테스트한다.
1장, ‘스프링 환경 - 프레임워크, 모듈 및 프로젝트’에서는 초기 버전에서 스프링 5.1에 이르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발전 과정을 알려준다. 스프링은 초창기에 의존 관계 주입(dependency injection)과 핵심 모듈을 사용해 테스트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사용됐다. 스프링 부트, 스프링 클라우드 및 스프링 클라우드 데이터 플로우와 같은 최신 스프링 프로젝트는 애플리케이션 인프라를 다루고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이동시킨다. 다양한 스프링 모듈과 프로젝트의 개요를 살펴보자.
2장, ‘의존 관계 주입 및 단위 테스트’에서는 의존 관계 주입을 자세히 살펴본다. 스프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의존 관계 주입 방법과 오토와이어링이 삶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다. 단위 테스트도 간략히 살펴본다.
3장, ‘스프링 MVC로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하기’에서는 가장 인기 있는 자바 웹 프레임워크인 스프링 MVC를 사용해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스프링 MVC는 깔끔하며 느슨하게 결합된 아키텍처로 컨트롤러, 핸들러 매핑, 뷰 리졸버 및 POJO 커멘드빈의 기능을 명확하게 정의한다. 스프링 MVC는 의존 관계 주입 및 오토와이어링과 같은 모든 핵심 스프링 기능을 이용해 간단하게 만들 수 있고, 서블릿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4장, ‘스프링 부트 시작하기’에서는 스프링 부트를 소개하고 프로덕션 수준의 스프링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스프링 부트의 기본 사항인 스프링 이니셜라이저, 자동 구성 및 스타터 프로젝트를 배운다. 스프링 부트 액추에이터로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고 생산적인 개발자가 되기 위해 스프링 부트 DevTools를 사용한다.
5장. ‘스프링 프레임워크 심화’에서는 스프링 AOP로 크로스 컷팅 문제를 구현하는 방법을 배운다. 그루비(Groovy) 및 자바스크립트(JSR 223 API)를 사용해 작업을 스케줄링하고 동적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6장, ‘스프링 부트로 REST API 구축하기’에서는 스프링 부트로 훌륭한 REST API를 구축하는 데 집중한다. 기본 REST API를 구현한 다음, 스프링 및 스프링 부트 프레임워크와 다른 기능을 사용하면서 캐싱, 예외 처리, HATEOAS 및 국제화 기능을 추가해본다.
7장, ‘스프링 부트로 REST API 단위 테스트하기’에서는 스프링 부트로 개발된 REST API에 대한 훌륭한 단위 테스트 및 통합 테스트 작성을 살펴본다. 스프링 MockMVC 및 스프링 부트 테스트를 사용해 전체 스프링 컨텍스트를 시작하는 모의 테스트 및 통합 테스트로 단위 테스트를 작성하는 방법을 배운다.
8장, ‘스프링 시큐리티를 활용한 시큐리티 REST API’에서는 인증 및 권한 부여와 같은 가장 중요한 REST API 기능을 살펴본다. 스프링 시큐리티는 자바 세계에서 REST API를 보호하기 위해 선택하는 프레임워크다. 특히 스프링 및 스프링 부트로 빌드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이어서 스프링 시큐리티를 스프링 부트 REST API 프로젝트에 통합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스프링 시큐리티의 핵심 구성요소인 필터, 인증 관리자, 공급자 및 액세스 의사 결정 관리자도 배운다. 또한 기본 인증, OAuth 및 스프링 시큐리티 OAuth와 함께 JWT 사용법을 설명한다.
9장, ‘리액트 및 스프링 부트가 포함된 풀스택 앱’에서는 풀스택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한다. 널리 사용되는 프론트 엔드 프레임워크 중 하나인 리액트와 함께 간단한 프론트 엔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스프링 부트 백엔드와 통합한다. 시큐리티를 포함한 풀스택 개발을 수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설명한다.
10장, ‘스프링 데이터로 데이터 관리하기’에서는 스프링 데이터 모듈을 설명한다. 스프링 데이터의 목표는 다양한 데이터 리포지토리와 관계형 또는 기타 방식으로 대화하는 일반적인 접근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다. 스프링과 JPA와 빅데이터 기술을 통합하는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본다.
11장, ‘마이크로서비스 시작하기’에서는 지난 10년 간의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의 진화에 대해 설명한다. 마이크로서비스 및 클라우드-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한 이유를 생각해보고 클라우드-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스프링 프로젝트를 살펴본다.
12장, ‘스프링 부트 및 스프링 클라우드로 마이크로서비스 구축하기’에서는 스프링 클라우드 내 프로젝트를 사용해 마이크로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구성 관리, 서비스 검색,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s) 및 지능형 라우팅을 알아본다. 스프링 클라우드 컨피그, 스프링 클라우드 버스, 립본(Ribbon), 유레카(Eureka), 주울(Zuul), 스프링 클라우드 슬루스(Sleuth), 집킨(Zipkin) 및 히스트릭스(Hystrix)를 사용해 마이크로서비스를 구현한다.
13장,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에서는 비동기 데이터 스트림을 사용한 프로그래밍을 설명한다.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을 이해하고,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간단히 살펴본다.14장, ‘스프링 모범 사례’에서는 스프링을 사용해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스프링 구성 유지 보수 등과 관련된 모범 사례를 소개한다.
15장, ‘스프링에서 코틀린 개발하기’에서는 빠르게 인기를 얻고 있는 JVM 언어인 코틀린을 소개한다. 15장에서는 이클립스에서 코틀린 프로젝트를 설정하는 방법의 지침을 제공한다. 코틀린을 사용해 새로운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만들고 단위 및 통합 테스트를 통해 몇 가지 기본 서비스를 구현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자바 세계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혁명을 일으켰는데, 거의 15년 동안 선택된 프레임워크다. 이 책은 테스트 가능한 느슨하게 연결된 애플리케이션의 문제 해결부터 웹 애플리케이션 및 REST API 구축에 이르기까지 모든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했다. 오늘날 풀스택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마이크로서비스 및 API 백엔드를 구축할 때 도움이 되는 다양한 스프링 프로젝트를 사용할 수 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스프링 부트, 스프링 클라우드, 스프링 데이터, 스프링 리액티브, 스프링 시큐리티 및 스프링 테스트와 같은 중요한 스프링 프로젝트를 심도 있게 살펴볼 것이다. 웹 애플리케이션, Todo REST API, 여러 클라우드 네이티브 마이크로서비스 및 기본 풀스택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해 다양한 스프링 프로젝트를 이해한다. 스프링 부트의 고급 기능은 다양한 예제를 통해 살펴본다.
책에서 다루는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면 스프링, 스프링 부트 및 스프링 클라우드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모범 사례를 습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클라우드, 마이크로서비스, 스프링, 스프링 부트 및 컨테이너와 관련해 전세계 30만 명의 개발자를 교육하는 in28Minutes의 설립자다. 프로그래밍을 즐기며 확장 가능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컨설팅을 좋아한다. 특히 BDD, 지속적 배포, 데브옵스와 같은 현대적인 개발 관행을 따르는 스타트업을 선호한다.
하이킹과 크리켓, 테니스를 즐기며 1년 동안 히말라야를 하이킹하는 것이 꿈이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다. 자바 개발자에게 친숙한 풀스택 애플리케이션으로 현재까지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공기와 같은 존재라고 할 정도로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널리 알려져 있고 많이 사용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다른 기술을 접목시키고 융합할 수 있는 기회는 적어질 수도 있다. 물론 다양한 언어, 프레임워크와 기술을 융합해 사용한다는 것이 반드시 좋다고는 말할 수 없다. 개발 환경 및 프로세스의 통일이라는 기준에서 보면 단일 프레임워크가 좀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른 언어가 아닌 같은 언어(여기서는 자바)와 같은 오픈소스에서 파생된 기술을 찾아보고, 새로운 프로젝트에 그것들을 적용해 보는 것도 개발자들에게 또 하나의 즐거움이 된다.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나온 여러 가지 기술은 현재 많은 곳에서 다양한 프로젝트에 적용되고 있다. 단순히 스프링 프레임워크만 알고 있다면 초급 개발자거나 새로운 기술에 열정이 부족한 시니어 개발자일 것이다. 이러한 개발자들에게 어쩌면 단비와도 같은 책일지도 모른다. 단순히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길들여져 새로운 기술이나 프레임워크를 배우기 귀찮아하는 개발자들에게 스프링 프로젝트에 있는 여러가지 프로젝트, 즉 스프링 클라우드, 스프링 부트,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코틀린, 마이크로서비스에 관련된 지식을 익히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이 책은 스프링 5의 기본을 잘 쌓을 수 있고, 스프링 부트를 활용하거나 고급 기능들을 익히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잘 따라 하다 보면 마이크로서비스를 구축하고 클라우드에 필요한 기술들도 쉽게 습득할 수 있다. 스프링을 기반으로 전반적인 트렌드 기술을 익히기에 적합하며 코틀린에 관련된 지식도 얻을 수 있다.
스프링은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며 표준 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써 쓰이는 가장 대중적이고 직관적인 프레임워크 중 하나다. 스프링 기본 개념을 익혀두면 예제를 이해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스프링을 활용한 기술들은 계속 발전할 텐데, 그중에서도 풀스택 애플리케이션 개발 분야에서 더욱 성장할 전망이다. 아무쪼록 많은 개발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길 소망한다.
미흡하지만 좀더 매끄럽고 정확한 의미전달이 되도록 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미비한 점은 계속해서 수정판을 출간함으로써 보완하고자 한다.
삼성전자와 LG전자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현재 기업과 대학에서 예술과 기술 융합을 비롯해 생활 속 과학, 창의적 사고와 코딩, 아트워크 실습 등 다양한 강의를 하고 있으며 관련 컨설팅도 진행 중이다.
[p.50 : 10행]
aspect oriented framework
->
aspect oriented programming
[p.97 코드]
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
->
BusinessApplicationContext.xml
[p.104 표 ‘@Inject’ 설명]
한 가지 중요한 차이점은 @Inject에 필요한 속성이 없다.
->
@Inject는 ‘required’ 속성이 없다.
[p.217 코드 마지막 행]
server can accept server.tomcat.max-connections=
->
server.tomcat.max-connections=
[p.251 '디버깅']
- /application/heapdump
- /application/httptrace
- /application/threaddump
->
- /actuator/heapdump
- /actuator/httptrace
- /actuator/threaddump
[p.268 '사용자 정의 AOP 어노테이션 정의하기’ 2-3행]
또한 사용자 정의 어노테이션을 정의하고 어노테이션 포인트컷으로 어드바이스를 적용할 메소드를 식별했다.
->
사용자 정의 어노테이션을 정의할 수 있고, 어노테이션 포인트컷을 사용해 어드바이스를 적용할 메소드를 식별할 수 있다.
[p.304 아래에서 2행]
ResourceEntity를 사용한다.
->
ResponseEntity를 사용한다.
[p.394]
Use DetailsService의 커스텀 구현 제공
->
UserDetailsService의 커스텀 구현 제공
[p.402 9행]
ADMIN의 Role과 같하다.
->
ADMIN의 Role과 같다.
[p.404 1행]
@RolesAllowed는 @Secured와 같은 JSR250 어노테이션이다.
->
@RolesAllowed는 @Secured와 같은 역할을 하는 JSR250 어노테이션이다.
[p.376 아래에서 2행]
https://깃허브.com/PacktPublishing/Mastering-Spring-5.1/tree/master/Chapter08
->
https://github.com/PacktPublishing/Mastering-Spring-5.1/tree/master/Chapter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