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농민운동의 정치세력화에 따른 도소의 연구를 통한 지방자치의 기능

atlod.nl.go.kr
http://lod.nl.go.kr/resource/CNTS-00132141359
[This page as RDF]
dcterms:abstract
  • 도소는 농민운동의 사회정치세력화에 따라 중앙정부로부터 수직적 권력분립을 통해 피지배계층이 최초로 지방정부에 참여하여 자신들의 의사를 행정에 반영하여 자치를 실현하려한 민정기관이자 군사조직이다. 그동안 선행연구는 지방자치기능과 활동 관련 도소의 민정자치기관설과 집강소기관설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도소의 기능과 유래및 형성요인, 도소와 집강소의 설치지역과 분포, 조직과 운영 및 활동 등의 분석을 통해우리나라 최초로 피지배계층인 농민들이 지방정부에 참여하여 자치를 실시하고 향촌사회 내의 사회질서 주체로 근대적 개혁의 첫 모태이며 현대 지방자치로의 발전가능성과 이정표를 제시한 고유조직인 포・접에 기반하여 민정자치기관이자 군사조직의 역할을 했던 도소의 연구를 통해 지방자치 기능과 시사점 및 한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xsd:string)
dcterms:accessRights
dcterms:alternative
  • function of local autonomy through Doso’s research following the political power of the peasant movement (xsd:string)
nlon:antecedentSource
  • born digital (xsd:string)
nlon:audienceNote
  • 일반이용자 (xsd:string)
nlon:bibliography
  • 참고문헌 수록 (xsd:string)
dc:creator
  • 주창범 (xsd:string)
dcterms:creator
nlon:datePublished
  • 2025-02-27T06:56:05 (xsd:dateTime)
bibframe:extent
  • p. 147-171 (xsd:string)
dc:format
  • application/pdf (xsd:string)
nlon:genre
  • 학술지 (xsd:string)
nlon:holdingInstitution
  • 국립중앙도서관 (xsd:string)
rdfs:label
  • 농민운동의 정치세력화에 따른 도소의 연구를 통한 지방자치의 기능 (xsd:string)
nlon:languageNote
  • 영어 요약 있음 (xsd:string)
nlon:medium
  • 전자자료(Application) (xsd:string)
nlon:newsPosition
  • p. 147-171 (xsd:string)
nlon:publicationPlace
  • 한국 (xsd:string)
nlon:relatedParts
  • 제61호(2024년 8월) (xsd:string)
nlon:restriction
  • 국립중앙도서관 공개 (xsd:string)
dcterms:subject
dcterms:title
  • 농민운동의 정치세력화에 따른 도소의 연구를 통한 지방자치의 기능 (xsd:string)
nlon:titleOfHostItem
  •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review (xsd:string)
  • 韓國行政史學誌 (xsd:string)
  • 한국행정사학지 (xsd:string)
rdf:type
nlon:typeOfResource
This page show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PARQL endpoint athttp://lod.nl.go.kr/sparql.
As Turtle |As RDF/XML |As JSON |As N3 |As nTriple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