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terms:abstract | -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필기(筆記)의 구도와 시대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본고는 정치적 웃음이라는 시좌(視座)로 이 시기 필기를 고찰하였다. 주로 개인적 차원에서 욕망과 고집, 문화적 차원에서 문학과 학문, 사회적 차원에서 가족제도와 여성에 대한 시선 등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개인적 차원의 경우, 욕망에 유연한 태도를 보이는 그룹은 다양성과 포용을 중시했고, 이에 대비되는 계열은 알인욕(遏人慾)과 의리(義理)의 절대성을 강조하며 원칙의 준수를 긍정했다. 자신의 시대를 수성기(守成期)로 판단한 그룹에서는 관용과 공치(共治)를 우선했고, 경장(更張)해야 할 시기로 본 부류는 지치(至治)에 다가서기 위해 유가(儒家)의 원리와 의리의 절대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찾아야 한다. 다음으로, 이처럼 욕망과 고집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시각을 보였지만, 이 시기의 필기 대부분에서 학문과 문학의 겸전(兼全)이나 문학의 국가적 공능을 중시하는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필기의 찬술자(纂述者)들이 대체로 문학을 정치와 도덕으로부터 유리시키지 않았다는 데 그 이유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차원에서 본 이 시기 필기는 조선의 유교화를 반영하고 있었다. 즉, 15세기 후반의 필기에서는 유교화의 초기적 모습을, 16세기 전반의 기사와 삽화에서는 전환기적 양상을 각각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성리학적 명분과 의리를 강조하며 도학정치를 추구하던 그룹의 점진적인 득세(得勢)와 연관된다. 이로써 보면 본고는 필기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방법적 틀을 제시했고,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필기의 구도를 가설하면서 그 원인과 배경을 추론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xsd:string)
|
dcterms:accessRights | |
dcterms:alternative | - study on the disposition and aspects of miscellanies seen through political laughter in the late 15<sup>th</sup> century~the early 16<sup>th</sup> century (xsd:string)
|
nlon:antecedentSource | - born digital (xsd:string)
|
nlon:audienceNote | |
nlon:bibliography | |
nlon:datePublished | - 2025-02-27T06:56:05 (xsd:dateTime)
|
bibframe:extent | |
dc:format | - application/pdf (xsd:string)
|
nlon:genre | |
nlon:holdingInstitution | |
dcterms:identifier | - http://www.minmun.net (xsd:string)
|
rdfs:label | - 정치적 웃음을 통해 본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필기(筆記)의 구도와 양상정치적 웃음을 통해 본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필기의 구도와 양상 (xsd:string)
|
nlon:languageNote | |
nlon:medium | - 전자자료(Application) (xsd:string)
|
nlon:newsPosition | |
nlon:publicationPlace | |
nlon:relatedParts | - 제84호(2024년 4호) (xsd:string)
|
nlon:restriction | |
dcterms:subject | |
dcterms:title | - 정치적 웃음을 통해 본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필기(筆記)의 구도와 양상 (xsd:string)
- 정치적 웃음을 통해 본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필기의 구도와 양상 (xsd:string)
|
nlon:titleOfHostItem | - Journal of Korean literary history (xsd:string)
- 민족문학사연구 (xsd:string)
|
rdf:type | |
nlon:typeOfResourc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