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루쉰과 번역론

atlod.nl.go.kr
http://lod.nl.go.kr/resource/CNTS-00131394646
[This page as RDF]
dcterms: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루쉰의 ‘번역물’이 아니라 그가 번역을 다룬 글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루쉰이 구상한 토대와 번역 주체 형성의 문제를 다루었다. 루쉰은 문학가로 알려졌지만 번역활동을 창작만큼이나 중요한 활동으로 생각한 번역가이기도 했다. 번역방법에 있어서도 직역·경역·중역·재번역 등 다채로운 번역 기법을 활용해 문화·사회·정치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고자 했다. 동시에 번역평론과번역논쟁에 참가한 번역 비평가였다. 시대적 한계와 사회의 조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매끄럽고 순통한 번역만을 주장하던 평론가들의 입장을 논박하면서 번역을 논쟁의 대상으로 만들었다. 이것은 루쉰은 번역 활동을 중국 사회를 재구성하는 물적 토대라고 생각했고, 그 역시 토대의 일원으로 참여하면서 토대를 확대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번역과 토대의 형성과 관련해 본 논문은 세 가지의 차원을 다루었다. 첫째 루쉰의 번역과 비평 활동은 새로운 번역 환경을 만들어내는 과정이었고 이를 위해 가장 먼저 루쉰이 고민한 번역가의 위상을 조정했다. 루쉰은 새로운 지식(원문)의 빠르고 효과적인 전달자 즉 계몽가-번역가 대신,고통스러운 사건의 목격자이자 이에 공명하는 자로 번역자를 규정했다. 둘째 루쉰이 참여했던 번역비평의 의미를 다룬다. ‘경역’이나 ‘중역’ 논쟁에 루쉰이 참여한 것은 단순히 번역방법에 차이때문이 아니었다. 루쉰에게 번역 비평가는 기존의 관점을 통해 새로운 번역을 재단하는 사람이 아니라 번역과 사회의 척도를문제화하고 이행시키는 존재였다. 셋째, 루쉰의 다양한 번역방법의 구사와 사회재구성의 관계를 다루었다. 이를 통해 잡다한 심지어 ‘이도 저도’아닌 번역이 갖는 사회적 위상과 그 의미를 규명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루쉰이 새롭게 구성한 번역가, 번역비평가, 번역방법이 새로운 공동체를 구성하기 위한 토대의 구성이었음을 밝혔다 (xsd:string)
dcterms:accessRights
dcterms:alternative
  • Lu Xun and translation theory (xsd:string)
  • translation, revolution, foundation (xsd:string)
nlon:antecedentSource
  • born digital (xsd:string)
nlon:audienceNote
  • 일반이용자 (xsd:string)
nlon:bibliography
  • 참고문헌 수록 (xsd:string)
dcterms:creator
nlon:datePublished
  • 2025-02-27T06:06:40 (xsd:dateTime)
bibo:doi
  • http://dx.doi.org/10.31147/IALL.99.21 (xsd:string)
bibframe:extent
  • p. 579-604 (xsd:string)
dc:format
  • application/pdf (xsd:string)
nlon:genre
  • 학술지 (xsd:string)
nlon:holdingInstitution
  • 국립중앙도서관 (xsd:string)
dcterms:identifier
  • http://iall.jams.or.kr (xsd:string)
rdfs:label
  • 루쉰과 번역론 (xsd:string)
nlon:languageNote
  • 영어 요약 있음 (xsd:string)
nlon:medium
  • 전자자료(Application) (xsd:string)
nlon:newsPosition
  • p. 579-604 (xsd:string)
nlon:publicationPlace
  • 한국 (xsd:string)
nlon:relatedParts
  • 제99집(2023년 12월) (xsd:string)
nlon:remainderOfTitle
  • 번역, 혁명, 토대 (xsd:string)
nlon:restriction
  • 외부공개 (xsd:string)
dcterms:subject
dcterms:title
  • 루쉰과 번역론 (xsd:string)
nlon:titleOfHostItem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xsd:string)
  • 국제어문 (xsd:string)
rdf:type
nlon:typeOfResource
This page show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PARQL endpoint athttp://lod.nl.go.kr/sparql.
As Turtle |As RDF/XML |As JSON |As N3 |As nTriple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