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혁명의 추억 미래의 혁명

atlod.nl.go.kr
http://lod.nl.go.kr/resource/CNTS-00071092252
[This page as RDF]
dcterms:abstract
  • 저자는 프랑스 대혁명을 근대혁명의 빅뱅으로 상정하면서 이 책의 첫 장을 열고 있다. 프랑스 대혁명 자체는 비록 숱한 약점과 한계를 드러낸 혁명이었지만 시민혁명의 보편가치를 선명하게 창출함으로써, 이후 민주주의가 위협받을 때마다 다른 이름의 혁명으로 끊임없이 부활하면서 영원한 현재진행형이 되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의 전반부라 할 수 있는 1, 2부에서 근대 이후 혁명의 추억을 반추한다. 산업혁명 이후 노동자계급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런 노동자계급을 바탕으로 혁명(러시아 혁명)을 성취한 마르크스주의가 현실정치에서 어떻게 수렴되고 변질되었는지, 중국혁명은 어떻게 혁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는지 추적하여 명료하게 정리하고 있다. 그 밖에도 조선혁명, 베트남 혁명, 제3세계 각국에서 일어난 혁명, 선진자본주주의 국가에서 일어난 68혁명 등을 반추함으로써 한계를 넘어 전진하는 역사의 추동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어서 자본주의가 케인스 이론에 생기를 얻어 도약하는 과정, 제3세계주의의 확산 과정, 사회주의의 실패(소련의 붕괴) 과정을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제3부에서는 신자유주의 세계화 과정을 섬세하게 추적하고, 신경제 10년 천하의 몰락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예견하고 확인한다. 그렇다면 신자유주의 몰락 이후 어떤 세계가 올 것인가? 우리는 어떤 세계를 구현할 것인가? 마지막 4부에서는 바로 이에 대한 답을 고민하고 궁구한다. 바로 그런 맥락에서 베네수엘라와 쿠바가 보여준 실험의 성취와 한계를 성찰하고 미래 혁명의 비전을 노동, 기업, 자본, 시장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이어서 미래가치 구현의 4대 요소로 ‘생태주의, 문화주의, 여성주의, 평화주의’를 상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조적 다수가 소통하고 연대하는 사회연대국가를 건설하여 진정한 주권재민을 실현할 것을 제안한다 (xsd:string)
dcterms:accessRights
nlon:antecedentSource
  • born digital (xsd:string)
nlon:audienceNote
  • 일반이용자 (xsd:string)
nlon:bibliography
  • 참고문헌(p. 679-685)과 색인수록 (xsd:string)
dcterms:created
  • 20140415 (xsd:string)
dc:creator
  • 박세길 (xsd:string)
dcterms:creator
nlon:datePublished
  • 2025-02-27T14:39:29 (xsd:dateTime)
bibframe:extent
  • 692 p (xsd:string)
dc:format
  • application/pdf (xsd:string)
nlon:genre
  • 일반도서 (xsd:string)
dcterms:hasFormat
nlon:holdingInstitution
  • 국립중앙도서관 (xsd:string)
dcterms:identifier
  • http://www.bookrail.co.kr/?book=N1403052 (xsd:string)
bibo:isbn
  • 9788959401093 (xsd:string)
dcterms:issued
  • 20080620 (xsd:string)
rdfs:label
  • 혁명의 추억 미래의 혁명 (xsd:string)
nlon:medium
  • 전자자료(Application) (xsd:string)
nlon:publicationPlace
  • 서울 (xsd:string)
  • 한국 (xsd:string)
dc:publisher
  • 누리미디어 [제작] (xsd:string)
  • 시대의창 (xsd:string)
nlon:remainderOfTitle
  • 역사의 대반전, 신자유주의 이후의 새로운 세계 (xsd:string)
owl:sameAs
rdfs:seeAlso
dcterms:subject
dcterms:tableOfContents
  • 여는 글 : 혁명, 추억의 반추 그리고 미래의 전망 = 4PART 01 혁명의 열정, 역사를 바꾸다 CHAPTER 01 근대혁명, 계급투쟁으로 뿌리를 내리다 = 15 근대혁명의 빅뱅, 프랑스 대혁명 = 17 대혁명의 발발 = 18 왼쪽으로 이동하는 혁명 = 24 혁명의 표류와 나폴레옹의 등장 = 30 산업혁명과 노동자계급의 형성 = 34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성공한 이유 = 34 노동자들의 비참한 처지 = 38 첨예해지는 계급투쟁 = 43 혁명에 날개를 달아준 마르크스주의 = 55 초기의 모색 = 57 공산당선언 = 61 1948년 혁명 = 67 자본론의 탄생 = 72 CHAPTER 02 최초의 사회주의 혁명, 시련을 먹고 자라다 = 81 제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혁명 = 83 극한을 넘나드는 혁명의 물결 = 95 스탈린 시대의 빛과 그림자 = 105 위로부터의 혁명 = 106 국가사회주의 = 110 대반격 = 114 CHAPTER 03 동아시아 혁명, 새로운 꽃을 피우다 = 123 중국혁명, 그 기나긴 장정 = 125 파란과 곡절을 딛고 선 조선혁명 = 139 작은 거인의 분투, 베트남혁명 = 150PART 02 역사는 한계를 딛고 전진한다 CHAPTER 04 자본주의 세계의 3중주, 기묘한 역설을 말하다 = 161 미국, 자본주의 세계의 중앙정부 = 163 케인스, 자본주의의 도약대 마련 = 172 복지국가와 사회민주주의 = 177 체제에 대한 도전, 68혁명 = 186 CHAPTER 05 제3세계, 새로운 지평을 열다 = 199 냉전의 최전선 한반도, 그 격정의 드라마 = 201 혁명의 활화산 = 212 카리브 해의 기습, 쿠바 혁명 = 213 민중의 위대한 힘, 베트남 전쟁 = 219 제3세계주의의 확산 = 224 미국의 개입 = 227 민중의 반격 = 236 농촌에서 도시로 = 236 무대의 새 주역, 피플 파워 = 240 합법 정치활동의 기수, 브라질 노동자당 = 244 CHAPTER 06 중국의 변신, 새로운 전범을 만들다 = 253 역사를 거꾸로 돌린 대약진운동 = 255 극단을 향해 치달은 문화대혁명 = 261 개혁개방의 길 = 269 표면화되는 중화주의 = 280 CHAPTER 07 소련의 붕괴, 한쪽 날개가 사라지다 = 289 중소분쟁과 소련의 고립 = 291 정체의 늪에 빠진 소련 체제 = 299 고르바초프 실험의 실패 = 306 기묘한 소연방의 해체 = 314PART 03 신자유주의 세계화, 바닥을 드러내다 CHAPTER 08 자본주의, 위기에서 탈출하다 = 323 장기 불황과 신자유주의의 부상 = 325 초국적자본의 세계 정복 = 335 주주자본주의의 태동 = 344 CHAPTER 09 포획당한 한국 경제, 허울만 남다 = 353 성장의 원동력과 시스템 사이의 모순 = 355 새로운 점령군 = 360 저성장의 구조화 = 369 기업의 투자 능력 잠식 = 371 사회양극화와 내수 경제의 위축 = 376 선순환 구조의 파괴 = 379 CHAPTER 10 신경제 10년 천하, 무덤이 가까워지다 = 387 퇴로를 상실한 신경제 = 389 무너지는 달러 제국 = 398 일극체제에서 다극체제로 = 406 저항의 세계화 = 417 사파티스타 봉기 = 418 반세계화 공동투쟁 = 420 세계사회포럼 = 423PART 04 대반전, 이제 다시 '사람'이다 CHAPTER 11 전환기, 창조적 파괴의 현장들 = 431 생사의 갈림길에 선 사회민주주의 = 433 베네수엘라의 대담한 도전 = 444 혁명 대 반혁명의 대결 = 446 국가에서 민중으로의 권력 이동 = 452 21세기 사회주의 = 455 쿠바, 농업에서 출구를 찾다 = 463 쿠바를 살린 유기농과 도시농업 = 463 새로운 모델의 창출 = 469 국가와 인민의 관계 재정립 = 472 새로운 출발선에 선 북한 = 476 위기의 폭발 = 476 미국과의 맞대결 = 482 7.1경제개선조치 = 490 CHAPTER 12 세상의 중심축 이동, '자본'에서 '사람'으로 = 503 노동혁명, 기계의 노예에서 생산의 주인으로 = 505 새로운 선진계급의 등장 = 505 학습 연마와 정의의 원칙 = 512 고용과 성장의 선순환 관계 = 518 기업혁명, 주주독재에서 민주적 공동체로 = 525 현대판 특권귀족, 주주 = 525 민주주의라는 이름의 열쇠 = 532 실행 가능한 전략 = 546 자본혁명, 착취의 도구에서 사회혁명의 동력으로 = 557 시장혁명, 탐욕의 기지에서 사회화의 무대로 = 571 CHAPTER 13 미래가치의 구현, 관점의 혁명으로부터 = 581 생태주의, 생존의 조건 = 583 문화주의, 행복의 조건 = 595 여성주의, 미래가치의 모태 = 604 평화주의, 공존의 조건 = 614 CHAPTER 14 사회연대국가, 주권재민의 실현 = 629'창조적 다수'의 소통과 연대 = 631 인민에 의한 권력 통제 = 646 공동체에 기초한 복지 모델과 자치권력 = 656 생존 철학으로서의 공유와 협력 = 668참고문헌 = 679찾아보기 = 686 (xsd:string)
dcterms:title
  • 혁명의 추억 미래의 혁명 (xsd:string)
rdf:type
nlon:typeOfResource
nlon:uci
  • G701:C-00071092252 (xsd:string)
This page show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PARQL endpoint athttp://lod.nl.go.kr/sparql.
As Turtle |As RDF/XML |As JSON |As N3 |As nTriple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