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한비자

atlod.nl.go.kr
http://lod.nl.go.kr/resource/CNTS-00059685844
[This page as RDF]
dcterms:abstract
  • 세상과 소통하는 처세와 지혜가 담긴 제왕학 교본!제왕이라면 누구나 읽어야 할 정치학 교과서『한비자』. 이 책은 제왕학을 다룬 위정자의 정치교본이자 세상과 소통하는 처세와 지혜가 담긴《한비자》를 소개한다. 《한비자》는 중국의 역대 군주들이 현실정치에 활용한 통치술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법가사상의 원전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위대한 저서이다. 이 책은 법가사상의 기원에서부터 진화과정을 연대기적으로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중국의 정치사상사에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법가사상의 핵심사항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법가사상을 이론적 기반으로 했던 정치사상가의 일면들을 조명하며, 특히 그의 사상이 후대에 미친 사례를 구체적으로 소개하여 한비 사상을 표방한 제왕들의 통치술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xsd:string)
dcterms:accessRights
dcterms:alternative
  • 韓非子 (xsd:string)
nlon:antecedentSource
  • born digital (xsd:string)
nlon:audienceNote
  • 일반이용자 (xsd:string)
dc:creator
  • 왕굉빈 (xsd:string)
  • 황효순 (xsd:string)
nlon:datePublished
  • 2025-02-27T20:27:36 (xsd:dateTime)
bibframe:extent
  • 496 p (xsd:string)
dc:format
  • application/pdf (xsd:string)
nlon:genre
  • 일반도서 (xsd:string)
nlon:holdingInstitution
  • 국립중앙도서관 (xsd:string)
dcterms:identifier
  • http://e-contents.nl.go.kr:8080/library/borrow/kyobo_content_open.asp?arg=4808993279627 (xsd:string)
bibo:isbn
  • 9788993279627 (xsd:string)
dcterms:issued
  • 20121120 (xsd:string)
nlon:kdc
  • 152.25 (xsd:string)
nlon:kdcn
nlon:keyword
  • 정치학 (xsd:string)
  • 제왕 (xsd:string)
rdfs:label
  • 한비자 (xsd:string)
nlon:medium
  • 전자자료(Application) (xsd:string)
nlon:publicationPlace
  • 서울 (xsd:string)
  • 한국 (xsd:string)
dc:publisher
  • 베이직북스 (xsd:string)
nlon:remainderOfTitle
  • 제왕이라면 누구나 읽어야 할 정치학 교과서 (xsd:string)
owl:sameAs
rdfs:seeAlso
dcterms:subject
dcterms:tableOfContents
  • 서문 4추천사 141장한비와《한비자》 1. 한비의운명과일생 = 20 한비의 재능과 책략 = 20 한나라의 귀공자 = 21 저술 활동에 몰두하다 = 24 인재 쟁탈전의 희생양 = 25 한비의 죽음 = 26 한비의 생애 = 27 2. 한비의법가사상과이전의법가사상 = 29 한비 이전의 법가사상 = 29 한비 사상의 학술적 기원 = 45 3.《한비자》의처세와지혜 = 52 《한비자》책에 관한 정보 = 52 한비의 인성론 = 54 한비의 변법적 역사관 = 65 법, 술, 세의 집대성 = 70 한비와 마키아벨리 = 116 4.《한비자》의문학적공로 = 125 논리는 골수에 사무치며, 문장으로 심장에 새긴다 = 125 박난문체의 창시 = 129 운문체의 새 지평을 열다 = 1322장한비사상의실천과진왕조의흥망 1. 진의흥기와변법 = 136 진인의 흥기 = 136 상앙의 변법 = 137 상앙의 죽음 = 140 2. 진시황, 이사와한비 = 143 승상 여불위의 기대 = 143 진왕 영정의 승리 = 147 한비의 죽음 = 149 3. 군주일인독재체제의구축 = 152 왕을 황제로 칭하다 = 152 피라미드식 통치구조 = 155 황제의 순행과 신격화 = 159 일의 경중에 관계없이 스스로 결정하다 = 160 4. 형벌로세운권위 = 162 잔인한 형벌 = 162 법의 악용과 남용 = 163 책을 불사르다 — 분서 = 166 문인의 참변 — 갱유 = 170 5. 사치와무한한욕망- 스스로의무덤을파다 = 173 700여리에 달하는 아방궁 = 173 신비한 무덤 — 여산릉 = 175 장성, 도로정비로 인한 백성들의 원성 = 177 6. 진시황의후계자호해와모략가조고 = 181 적자 폐위를 위한 사구의 음모 = 181 포학무도 = 186 권모술수와 모략 = 192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다 = 201 7. 진왕조의붕괴 = 206 진왕조의 패망 = 206 진왕조 패망의 교훈 = 2073장외도내법에서양유음법으로진화 1. 진나라를답습한한제국 = 212 정치제도 = 212 중농억상 정책 = 216 법을 간소화하고 형량을 완화하다 = 219 2. 한초기의황로사상에입각한통치 = 224 통치사상의 변화 = 224 조참과 개공 = 226 진평과 전숙 = 228 왕생과 등공 = 231 두태후와 황생 = 233 급암과 양왕손 = 236 도가의 통치 = 238 3. 표면적으로는도가를내부적으로는법가를취했던황로학 = 241 황로학의 기원 = 241 황로학의 내용 = 246 황로학의 소멸 = 251 4. 육가, 숙손통, 가의 = 255 육가와 그의 저서인《신어》 = 255 숙손통의 조정의례 제정 = 258 가의와 그의 저서인《신서》 = 260 5. 양유음법관념체계의확립자, 동중서 = 265 동중서의 생애 및 저서 = 265 하늘과 인간이 서로 감응하다 = 267 삼강오상 = 269 인성의 세 가지 품격 = 271 덕을 크게 베풀고, 형벌을 가볍게 한다 = 273 《춘추》를 표준으로 삼다 = 275 6. 표면적으로유가를표방하고, 내부적으로법가를취함 = 277 유가의 흥성 = 277 모든 사상을 퇴출하고 유가의 사상만을 존귀히 하다 = 281 양유음법 통치의 확립 = 284 양유음법의 역사적 영향 = 2874장한비의법치이론과정치사상가 1. 난세에는형벌을최우선으로한다- 조조 = 292 2. 가르침엔엄격함이있어야하고, 상벌에는신의가있어야한다 - 제갈량 = 298 3. 존귀한자를벌함으로권위를세우고, 천한자를상줌으로선함을장려한다 - 갈홍 = 303 4. 안정된국가는예로통치하고, 혼란한국가는법으로통치한다- 왕맹 = 306 5. 천하에대한진정한통치는진나라에서유래한다- 유종원 = 311 6. 죄를지은자는마땅히벌한다- 포증 = 315 7. 세상이변하면마땅히법도변해야한다- 왕안석 = 325 8. 국가를통일하는것은엄격함이아니고서는불가능하다- 주원장 = 329 9. 군주를존귀하게여기고, 관리의직무를명확히하며, 상벌에신뢰감이있어 야한다- 장거정 = 3375장제왕술의역사 1. 예와법의불가피한동침 = 346 2. 한신을처형한유방 = 351 3. 아버지를살해하고왕위를찬탈한양광 = 359 4. 이세민과현무문의변 = 368 5. 여황제의꿈을이룬무측천 = 374 6. 연회를열어병권을찬탈한조광윤 = 383 7. 화친을요구하며지위를유지한조구 = 387 8. 주익균의남면지술 = 394 9. 옹정제의황제즉위 = 402 10. 건륭황제와탐관오리화신 = 4116장한비사상의현대적의미와의의 1. 국가의패망앞에서있던지식인 = 420 2. 내일을위해개혁에힘써야하며, 스스로개혁해야한다- 공자진 = 422 3. 옛것을변화시키면, 백성들이행복해질것이다- 위원 = 426 4. 법과이치를중시하면, 폭력을제거할수있다- 증국번 = 430 5. 신불해와한비의현명함은요순의10배에달한다- 왕사탁 = 434 6. 한비사상의또다른의미를예찬하다- 엄복 = 443 7. 한비에게양복을입히다- 양계초 = 449 8. 혁명가가논한법가- 장태염 = 460 9. 법가부흥론- 상연생&진계천 = 4677장한비사상의또다른지혜 1. 관리학에서나타나는한비의지혜 = 476 법, 술, 세 삼위일체의 집대성 = 477 현대의 관리부문에서 한비의‘법치’응용 = 484 2. 마케팅에적용하는한비의지혜 = 488 짚신과 명주를 파는 노나라 상인 = 489 진주 상자를 사고 진주를 돌려주다 = 494 (xsd:string)
dcterms:title
  • 한비자 (xsd:string)
rdf:type
nlon:typeOfResource
nlon:uci
  • G701:C-00059685844 (xsd:string)
This page show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PARQL endpoint athttp://lod.nl.go.kr/sparql.
As Turtle |As RDF/XML |As JSON |As N3 |As nTriple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